{ 태그에 닫는 태그가 없습니다. error :313
Home > 커뮤니티 > 자료실
당신은 보호자입니다.
보호자가 스마트폰을 많이 볼수록
스마트폰에 대한 아이의 관심은 커집니다.
보호자가 아이에게 스마트폰을 주는 상황
* 아이가 재미있어 하거나 원하니까 계속해서 주게 되요.
* 스마트폰을 주니 울거나 보채지 않아 주게 되었어요.
* 식사시간이나 공공장소에서 아이가 스마트폰을 보면 조용해져서 좋아요.
* 스마트폰을 일찍 다룰 수 있으면 좋지 않을까요?
* 영˙유아기는 다른 연령에 비해 뇌 발달 속도가 빨라요.
* 유아기는 뇌 발달의 결정적 시기로 기억과 감정을 관장하는 해마 발달의 민감기에 해당해요.
* 자신의 감정과 충동을 참고 조절해 적절한 행동을 선택하는 연습이 필요해요.
* 영˙유아기에는 뇌 구조와 기능의 발달 수주이 충분히 성숙하지 못한 만큼 스마트폰의 부정적인 영향에 취약해요
* 특히 발암물질로 분류되는 스마트폰 전자파는 성인보다 두개골이 얇고 뇌의 크기가 작은
유아에게 더 해로워 주의가 필요해요.
* 스마트폰을 비롯한 디지털 기기의 강한 자극에 자주 노출되면 아이의 뇌 구조가 변할 수 있다는 연구가 있을 정도에요.
1)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 인식 (Problem recognition)
* 아이에게 무심코 보여주는 10분의 모바일 콘텐츠(영상,음악,게임 등)로 인해 아이는 스마트폰에 과의존할 수 있습니다.
* 아이는 보호자(부모, 교사 등 주 돌봄자)의 스마트폰 이용습관을 닮아갑니다.
* 스마트폰을 육아 또는 교육 도구로 이용하는 것도 방임일 수 있습니다.
2) 사용 상태 점검 (State check)
* 보호자가 스마트폰 과의존일 경우, 아이도 과의존 위험이 큽니다.
- 성인과 아이 모두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인해 신체˙심리˙관계˙행동 문제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.
-‘스마트폰 과의존 척도’를 활용해 사용습관을 꼭 확인해보세요.
-보호자용 스마트폰 과의존 점검방법 : 스마트쉼 센터 홈페이지(www.iape.cp.kr)
→「과의존 진단」또는 과의존이란?
→「성인용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」이용
3) 바른 사용 실천 방안 및 대안 제시 (Suggest alrernatives)
* 아이가 보호자와 함께하는 영상 통화 외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도록 합니다.
* 가정(기관) 내 스마트폰 활용 규칙을 정해 일관되게 지킵니다.
4) 주변 사람과의 관계 형성 강화 (Connect)
* 스마트폰으로 보고 듣는 동요˙동화보다 보호자와의 친밀한 시간이 아이의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.
아이와 눈을 맞추고 웃으며 노래와 이야기를 들려주세요.
- 영아기 (0~만2세)는 오간과 정서 접촉을 통해 사물과 상황 나아가 세상을 이해하는 시기입니다.
스마트폰 과의존으로 인해 아이의 발달이 지체될 수 있습니다.
아이가 오감중심의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해주세요.
ICT 환경 변화에 따라 디지털 이용도 조기교육이 필요할까요?
이른 시기의 규칙 없는 디지털 및 미디어 이용은 아이의 신체, 인지, 정서 발달에 해롭습니다.
다음과 같이 한달만 노력해 보세요!
아이와 함께하는 연령별 놀이
연령 |
놀이 유형 |
놀이 종류 |
0~12개월 |
기능 |
손수레 또는 바퀴 달린 장난감 밀기, 놀잇감 끌고 돌아다니기, 층계 오르내리기, 흔들 목마 타기 |
구성 |
큰 상자에 물건 담기, 스펀지 블록 놀이 |
|
상징 |
성인의 행동을 단순 모방하기 |
|
13~24개월 |
기능 |
놀잇감 끌고 돌아다니기, 층계 오르내리기, 흔들 목마 타기, 공 던지기 |
구성 |
크기대로 쌓기, 높이 쌓기, 구멍 모양에 맞추어 넣기, 다양한 모양으로 블록 구성하기, 크레파스로 끄적거리기, 점토놀이, 밀가루 반죽놀이 |
|
상징 |
모방 놀이의 시작, 전화 놀이, 인형 보살펴주기, 그림책에 관심갖기, 사물을 가리키며 말하는 척하기 |
출처자료: 스마트쉼센터 스마트폰 내리GO 캠페인
열기 닫기